본문 바로가기
문법/동사 Verb

불완전자동사 (2형식 동사 & 연결동사)

by 영돈쓰 2023. 8. 4.

불완전자동사는 목적어를 필요하지 않는 자동사 중에 동사만으로 의미가 완전하지 못한 동사이다. 때문에 보어(보충해주는 말)가 필요하다. 다시 말해, 불완전자동사는 보어(Complement)는 필요하지만 목적어(Object)는 필요 없는 동사이다. 불완전자동사는 2형식 문장(S+V+C)을 만들기 때문에 2형식 동사라고도 부른다.

 

불완전자동사 (2형식 동사 & 연결동사)
불완전자동사 (2형식 동사 & 연결동사)

 

불완전자동사의 의미

  • 불완전: 보어(보충해주는 말)가 있어야 의미가 완전해진다.
  • 자동사: 스스로 움직이며 목적어(대상)가 필요 없다.

 

동사는 목적어의 여부에 따라 자동사와 타동사로 나뉜다고 했는데, 이들은 다시 보어(보충해주는 말)의 여부에 따라 완전과 불완전으로 나뉜다고 했었다. 동사를 분류하는 기준들이 궁금하다면 <동사의 뜻과 종류, 형태알기> 글을 한 번 읽어보면 쉽게 뇌리에 박힐 것이다. 

 

목적어와 보어 모두 필요로 하지 않는 완전자동사와 달리 불완전자동사목적어는 필요 없지만 보어를 필요로 한다. 때문에 불완전자동사는 2형식 문장을 만들게 되며 2형식 동사라고도 부른다.

 

불완전자동사 = 2형식 동사
2형식 : 주어(Subject) + 동사(Verb) + 보어(Complement)

 

또, 주어와 보어를 단순히 연결해 주고만 있다 하여 연결동사(Linking Verb)라고도 부른다.

 

불완전자동사 = 2형식 동사, 연결동사

우리가 불완전자동사 또는 2형식 동사라고 하는 동사들을 영어권에서는 연결동사(Linking Verb)라고 부른다. 특별한 의미를 갖기 보다 문장 안에서 단순히 주어(Subject)와 보어(Complement)를 연결해 주고 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 2형식 : 주어 + 연결동사 + 보어
  • 2형식에서 보어(Complement)는 주어를 보충 설명해주는 말이다. 
  • 2형식에서 동사(Linking Verb)는 단순히 주어와 보어를 연결해주고 있다. 하지만 문장에서 동사는 빠져서는 안되는 필수 성분이다!

 

가장 대표적인 연결동사(2형식 동사)가 바로 be동사이다.

 

The roof is blue.

지붕이 파란색이다.

  • 주어(The roof) + 동사(is) + 보어(blue)
  • 보어(blue)가 주어(The roof)의 상태를 말해주며 보충 설명해주고 있다.
  • 동사(is)는 특별한 행위를 뜻하거나 하지 않지만 주어와 보어를 연결해주고 있다. 주어(The roof) = 보어(blue)

 

꼭 be동사만이 2형식 동사이자 연결동사로 쓰인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의미상으로 봤을 때 주어 = 보어 관계가 성립하는지를 보면 그 동사가 2형식동사(연결동사)인지 쉽게 구분할 수 있다.

 

My brother became a teacher.

내 남동생은 선생님이 되었다.

  • 주어(My brother) + 동사(became) + 보어(a teacher)
  • 주어(My brother) = 보어(a teacher) 관계가 성립한다. 2형식

 

2형식 예문들을 참고하여 be, become 외에 2형식에서 쓰일 수 있는 동사들을 알아두면 좋다.

 

보어 자리에는 반드시 명사 또는 형용사 역할이!

보어(Complement)란 보충해주는 말이다. 2형식에서는 주어(Subject)를 보충해주기 때문에 주격보어(Subjective Complement, SC)라고도 한다.

 

주격보어 자리에는 명사 또는 형용사만이 올 수 있다.

  • 주격보어 자리에 명사가 오면, 주어와 보어가 동일한 대상(사람이나 사물)임을 의미한다. 
  • 주격보어 자리에 형용사가 오면, 보어가 주어의 상태를 나타낸다. 

 

That man is a cop.

저 남자는 경찰이다. 

  • 주어(That man) + 동사(is) + 보어/명사(a cop)
  • 보어/명사(a cop)와 주어(That man)는 동일한 대상이다.

 

She seemed sad.

그녀는 슬퍼 보였다.

  • 주어(She) + 동사(seemed) + 보어/형용사(sad)
  • 보어/형용사(sad)는 주어(She)의 상태를 말해준다.

 

특히 보어가 형용사일 때 부사와 혼동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니 유의해야 한다.

※ 부사는 주,동,목,보의 필수성분 자리(뼈대)에 올 수 없다.

우리말로 해석했을 때 부사처럼 들리거나 부사가 어울린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She seemed sadly. (X)

 

명심하자. 보어 자리에는 명사(동일대상) 또는 형용사(상태)만 올 수 있다. 부사는 안된다!

 

불완전자동사(2형식 동사) 실수 없애기

2형식 동사는 특히 동작이 없는 동사이다 보니 문장 안에서 단순히 주어와 보어를 연결만 해주고 있기 때문에 우리말로 해석하기 애매한 경우가 많다. 

 

그래서 2형식 동사를 해석할 땐, (또는 2형식 문장을 해석하여 이해할 땐)

  1. 보어 자리에 명사가 오면 주어와 명사를 동일대상으로 보고 "[주어]가 [보어]이다."라고 이해하고, 
  2. 보어 자리에 형용사가 오면 기본적으로 주어의 '상태'를 나타낸다고 생각하면 되며 "[보어/형용사]는 [주어]의 상태"로 이해하면 쉽다.

 

형용사 보어가 주어의 상태를 나타내준다는 기본 이해를 가지면 감각동사와 같이 헷갈리는 문법 개념을 구분하느라 애쓰지 않아도 된다.

 

 

지금까지 설명을 읽어보면 2형식 문장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 2가지를 꼭 명확히 짚을 수 있어야 한다는 걸 알 수 있다.

  • 2형식 동사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주어와 보어의 관계를 보자)
  • 형용사와 부사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The toy car became mine.

그 장난감 자동차는 내 것이 되었다.

  • 주어(The toy car) + 동사(became) + 보어/명사(mine)
  • 주어(The toy car)와 보어/명사(mine)가 동일대상을 가리킨다. 

 

You look happy with James.

너 James랑 함께 있어 행복해 보여.

  • 주어(You) + 동사(look) + 보어/형용사(happy) + 수식어(with James)
  • 보어/형용사(happy)는 주어(You)의 상태를 나타낸다.

 

The coach appears upset about the result.

코치는 그 결과에 대해 언짢은 것 같다.

  • 주어(The coach) + 동사(appears) + 보어/형용사(upset) + 수식어(about the result)
  • 주어(The coach)의 상태가 보어/형용사(upset)이다.
  • upset형용사로 쓰일 때 언짢은, 기분이 상한, 속상한, 화가 난 등의 뜻을 가진다.

 

This coffee tastes very sweet.

이 커피는 정말 달다.

  • 주어(This coffee) + 동사(tastes) + 보어(very sweet)
  • 보어(very sweet) : 부사(very) + 형용사(sweet)
  • 보어/형용사(sweet)가 주어(This coffee)의 상태를 나타내주고 있다.
  • taste는 '(대상)을 맛보다'라는 뜻으로 목적어를 두는 동사로도 쓰이지만, 이 문장에서는 주어와 보어를 연결하는 2형식 동사(연결동사)로 쓰였다.

 

2형식 동사(연결동사)인지 구별하는 팁 → be동사로 바꿔 보기

be동사가 아닌 동사가 문장에서 2형식 동사(연결동사)로 쓰였는지 구별해내는 팁이 있다면 해당 동사를 be동사로 바꾸어 주어와 보어의 관계를 좀 더 직관적으로 살펴보는 방법이 있다. 만약 동사 뒤에 나온 단어(보어)가 주어와 동일대상이거나 주어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면 그 동사는 2형식 동사(연결동사)이다.

 

  He tasted the soup. The soup tasted terrible.
be동사로 바꾸기 He was the soup.
그는 그 수프였다!?
The soup was terrible.
그 수프는 끔찍했다.
말이 되나 안되나 말이 안된다. (2형식 동사 X) 말이 된다. (2형식 동사 O)

 

 

 

 

완전자동사와 더불어 불완전자동사도 명확히 이해가 되었기를 바란다. 불완전자동사는 목적어가 필요 없는 자동사이지만, 보어를 필요로 하는 불완전자동사이다보니 보어(Complement)가 등장하는 2형식 문장을 만드는 동사이자, 문장 안에서 주어와 보어를 연결해주고 있는 연결동사(Linking Verb)라는 것. 또, 보어 자리에는 명사 또는 형용사만이 올 수 있다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