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동사 Verb4 Be동사 - be동사의 형태와 기능 Be동사는 매우 자주 쓰이는 동사이지만 다양한 형태와 의미 때문에 정확하게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동사이기도 하다. 이번 글에서는 주어에 따라 변하는 be동사의 형태와, 일반동사와 조동사로 쓰일 때 be동사의 역할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1. be동사의 형태 동사는 문장의 필수성분으로 문장에 '동사'가 없을 수는 없다고 앞서 설명했다. be동사 또한 여러 형태로 문장에 등장하는데, be동사는 주어에 따라서 그 형태가 변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아래 표를 보며 주어가 무엇이냐에 따라 어떤 be동사가 쓰이는지 살펴보자. ※ 간혹 be동사를 am, are, is로만 기억해 이 동사들의 '원형'이 be 라는 것을 잊기도 한다. 원래 be 라는 동사가 주어에 따라, 시제에 따라 그 형태가 변하는 것이다! 원형: .. 2023. 8. 19. 불완전자동사 (2형식 동사 & 연결동사) 불완전자동사는 목적어를 필요하지 않는 자동사 중에 동사만으로 의미가 완전하지 못한 동사이다. 때문에 보어(보충해주는 말)가 필요하다. 다시 말해, 불완전자동사는 보어(Complement)는 필요하지만 목적어(Object)는 필요 없는 동사이다. 불완전자동사는 2형식 문장(S+V+C)을 만들기 때문에 2형식 동사라고도 부른다. 불완전자동사의 의미 불완전: 보어(보충해주는 말)가 있어야 의미가 완전해진다. 자동사: 스스로 움직이며 목적어(대상)가 필요 없다. 동사는 목적어의 여부에 따라 자동사와 타동사로 나뉜다고 했는데, 이들은 다시 보어(보충해주는 말)의 여부에 따라 완전과 불완전으로 나뉜다고 했었다. 동사를 분류하는 기준들이 궁금하다면 글을 한 번 읽어보면 쉽게 뇌리에 박힐 것이다. 목적어와 보어 모두 .. 2023. 8. 4. 완전자동사 (1형식 동사) 동사는 목적어의 여부에 따라 자동사와 타동사로 나뉜다고 했는데, 자동사와 타동사는 각각 다시 보어(보충해주는 말)의 여부에 따라 완전과 불완전으로 나뉜다. 그 중 완전자동사는 목적어(Object)나 보어(Complement) 없이도 동사 자체로 의미가 "완전"한 동사를 말한다. 즉, 완전: 보어(보충해주는 말) 없이도 완전하게, 자동사: 스스로 움직이며 목적어(대상)도 필요 없는 동사이다. 완전자동사는 문장의 필수 성분(뼈대) 4가지 —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 중에서 목적어와 보어가 필요 없기 때문에 주어(Subject) + 동사(Verb)만으로 완전한 문장이 만들어 진다. (수식어(살)은 얼마든지 붙을 수 있음을 잊지 말자) We run. 우리는 달린다. 주어(We) + 동사(run) 1형식 .. 2023. 8. 2. 동사란? 동사의 뜻과 종류, 형태 알기 문장에서 동사(Verb)는 주어(Subject)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이다. 나누는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는 동사는 1)동작동사(action verbs)와 상태동사(stative verbs), 2) 목적어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자동사와 타동사로 나누기도 하며, 3) 부정문,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에서는 be동사, 조동사, 일반동사로 분류하기도 한다. 또, 동사는 원형(기본형)을 기준으로 다양한 형태로 바뀔 수 있다. 동사란? 동사(Verb)는 문장 안에서 주어(Subject)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낸다. She plays tennis. 그녀는 테니스를 친다. 주어(She) + 동사(plays) + 목적어(tennis) 동사(plays): 주어(She)의 동작/행위를 나타낸다. We are ha.. 2023. 7. 25. 이전 1 다음